미래 교육4 평가 중심 교육의 함정: ‘잘함’보다 ‘앎’이 중요하다 ‘잘함’에 갇힌 교육, ‘앎’을 잃어가다현대 교육 시스템은 양적 평가에 기반한 '잘함'을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 경향이 짙다. 여기서 '잘함'이란 주로 시험 성적, 등수, 학위와 같은 외형적인 지표를 통해 측정되는 능력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좋은 학교와 안정된 직업을 얻기 위해 학습이라는 길고 지난한 과정을 통과한다. 이러한 목표 설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내용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탐구하기보다는, 주어진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내는 기술을 습득하는 데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중심의 교육은 본질적인 '앎'과는 거리가 멀 수 있다. '앎'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지식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다양한 맥락에 적용하고, 새로운.. 2025. 8. 31. 유튜브로 배우는 세대,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새로운 배움의 지평, 그리고 지도의 딜레마 ① 문제 제기 정보의 바다라 불리는 디지털 세상 속에서 오늘날의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 기기와 유튜브를 벗삼아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유튜브로 배우는 세대'는 궁금한 것이 생기면 포털 사이트 검색 대신 유튜브 영상을 찾고, 교과서 너머의 지식을 유튜버의 친근한 설명에서 얻는 것이 익숙합니다. 짧고 강렬한 숏폼 콘텐츠에 열광하고, 시각적 정보 처리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달했으며,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즉시 습득하는 데 능숙합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기성세대가 경험했던 책과 교실 중심의 학습과는 확연히 다릅니다. 전통적인 교육 시스템이 여전히 책과 교사의 지식 전달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아이들은 이미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자신만의 학습 .. 2025. 8. 24. 학원 대신 집에서: 홈스쿨링의 새로운 가능성 1. 사교육 공화국 대한민국의 교육 대안은? 대한민국은 오랜 기간 사교육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인식되어 왔다.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은 학교 수업 외에도 학원과 과외를 통해 치열한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녀의 성공을 바라는 부모의 간절한 마음과 불안감, 그리고 입시 중심의 교육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획일화된 학교 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 그리고 친구들 사이의 비교 문화는 많은 학생들을 학원으로, 또 다른 사교육의 장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학생들은 과도한 학습 부담에 시달리고, 창의성이나 자기 주도성은 오히려 저해되는 부작용에 직면해 있다. 또한, 사교육에 지출되는 막대한 비용은 가계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며, 교육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2025. 8. 17. 미래 직업을 준비하는 교육: 급변하는 시대, 우리 아이들의 경쟁력을 키우는 길 1.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 교육은 과연 준비되어 있는가? 오늘날 우리는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사회 구조의 빠른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예측 불가능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로봇 공학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우리 삶의 전반에 깊숙이 들어와 있으며, 이는 교육 시스템과 미래 직업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특정 지식을 습득하고 정해진 기술을 익히는 것이 직업 준비의 핵심이었다면, 이제는 어떤 직업이 사라지고 어떤 새로운 직업이 생겨날지조차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미래 사회에서,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과연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를 충분히 준비시켜 주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 2025. 8. 2. 이전 1 다음